본문 바로가기
728x90

Category76

[Flutter] 위젯 터치 막기 (AbsorbPointer) Flutter에는 터치 가능 여부를 컨트롤할 수 있는 위젯이 있습니다. 터치를 막고자하는 위젯에 AbsorbPointer 위젯으로 감싸주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구현 가능합니다. absorbing에 bool 인자를 넘겨주어 터치여부를 변경할 수 있으며, 값을 주지 않을 시 자동으로 true 상태로 동작합니다. trailing: AbsorbPointer( absorbing: true, //클릭 가능 여부 child: RatingBar.builder( initialRating: bookReport.stars ?? 0, allowHalfRating: true, unratedColor: Colors.amber.withAlpha(50), itemCount: 5, itemSize: 20.0, itemPadding: E.. 2023. 11. 15.
[Flutter] ElevatedButton 색상 바꾸기 ElevatedButton은 플러터 내에서 입체적인 폼을 가진 버튼입니다. 색상을 바꾸는 방법은 ButtonStyle 객체에 각종 Color 파라미터를 넘겨주어 색상을 변경합니다. backgroundColor : 버튼의 기본 색상 overlayColor : 버튼 선택 시 표현할 색상 shadowColor : 버튼 선택 시 표현할 그림자 색상 MaterialStateProperty.all(Colors."사용할 컬러") : 전달할 컬러 객체 ElevatedButton( onPressed: () { print('버튼 선택 됨'); }, style: ButtonStyle( backgroundColor: MaterialStateProperty.all(Colors.green), //기본 색상 overlayColor.. 2023. 11. 14.
[Flutter] StatefulWidget 내에서 생성자를 통해 받아온 값 활용하기 Flutter의 Widget 중 StatefulWidget 내에서 생성자를 통해 받은 값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. 1. 생성자를 통해 값 받기 먼저 클래스 내에 생성자를 통해 받을 값을 정의합니다. class BookReportEditPage extends StatefulWidget { BookReportEditPage({ super.key, required this.index, this.title, this.author, }); final int index; String? title; String? author; 2. 받아온 값 활용하기 받아온 값은 'widget.변수명' 형식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. print('책 제목 : ${widget.title}'); 2023. 11. 13.
[Flutter] 상수 (const, final) 상수 변수(constant variable)는 프로그램에서 값을 한 번 할당하면 이후에는 그 값을 변경할 수 없는 변수를 가리킵니다. 다시 말해, 한 번 값을 할당하면 그 값이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변경되지 않는 변수를 의미합니다. 이러한 변수는 일반적으로 변하지 않는 값, 상수, 또는 설정값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. 1. const const 는 컴파일 시 상수가 되는 변수입니다. const 변수를 사용 시에는 선언과 동시에 초깃값을 대입하여 초기화를 해준 뒤 사용합니다. const String value1 = "안녕하세요"; const String value2; // Error. 초깃값 대입 안함 void main() { value1 = "제 블로그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"; // Error. 값 변.. 2023. 11. 7.
728x90